반응형
변수를 private로 정의하는 이유는 남들이 변수에 의존하지 않게 만들고 싶어서이다.
#1. 자료 추상화
- 추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사용자가 구현을 모른 채 자료의 핵심을 조작할 수 있어야 진정한 의미의 클래스이다.
- 개발자는 객체가 포함하는 자료를 표현할 가장 좋은 방법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.
#2. 자료/객체 비대칭
- 새로운 자료 타입이 필요한 경우에는 클래스와 객체 지향 기법이 가장 적합하다.
- 새로운 함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절차적인 코드와 자료 구조가 더 적합하다.
- 모든 코드를 객체를 이용하는 것이 좋은 것이 아니고 때로는 단순한 자료 구조와 절차적인 코드가 적합할 때도 있다.
#3. 디미터 법칙
- 디미터 법칙이란 "모듈은 자신이 조작하는 객체의 속사정을 몰라야 한다는 법칙"이다.
#4. 자료 전달 객체
- 자료 구조체의 전형적인 형태는 공개 변수만 있고, 함수가 없는 클래스다. 때로는 DTO라고 부른다
반응형
'개발 서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헤드퍼스트 디자인패턴 - 옵저버 패턴 (0) | 2022.05.26 |
---|---|
헤드퍼스트 디자인패턴 - 싱글턴 패턴 (0) | 2022.05.24 |
Clean Code 5장 형식 맞추기 (0) | 2022.05.18 |
헤드퍼스트 디자인패턴 - 빌드 패턴 (0) | 2022.05.17 |
Clean Code 4장 주석 (0) | 2022.05.10 |